
b914311250e1583da360e1d55d0d009f.ppt
- Количество слайдов: 29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 제도 안내 < KOSHA 18001 > 2005. 3. 28. 한국산업안전공단 부산지역본부
KOSHA 18001 인증규격의 종류 q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1994) - 2001년 이후 ISO 9001: 2000 규격으로 통일 q ISO 14001 환경경영시스템(1996) q OHSHA 18001: 1999(세계인증기관작성) q KOSHA 2000 Program : 1999. 7월 이후 - BS 8800 :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지침(’ 96) q K-OHSMS 18001: 2001 한국인정원 제정 q ILO GUIDE LINE : 2001. 6 공포 q KOSHA 18001: 2003. 3월(KOSHA 명칭 변경)
KOSHA 18001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이란? q 경영자가 기업경영방침에 안전보건 정책을 반영하고 q 세부실행지침과 기준을 규정화 함으로서 모든 근로자가 이를 실천하도록 하며 q 주기적으로 계획에 대한 실행을 자체 평가하여 다음 년도의 방침/목표에 반영하는 등 q 재해 예방 모든 활동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조직이 만든 문서화 된 경영 체계 KOSHA 18001, ILO(G) : 사업주는~ - OHSAS 18001, K-OHSMS 18001: 2001 조직은~ -
KOSHA 18001 인증, 인증시스템이란? q 인증(Certification): 제품인증/경영시스템 - 제품인증: 특정제품이 원래의 규격에 맞도록 제조 되었는 지 여부 평가, 판정 해 주는 제도 • 주로 시험소에서 업무 수행, 제품 시험 성적서 발행 인증 - 경영시스템 인증 : 특정제품, 공정 또는 서비스 를 제공하는 공급자(기업, 단체 등)의 경영시스 템이 국제규격에 적합하게 방침을 정하고 운용 되고 있는지를 심사 • 적합한 지 여부 판정, 입증 해 주는 것.
KOSHA 18001 이란 ? q 사업장의 자율안전보건경영체제 구축을 위해 q 한국산업안전공단(KOSHA)이 제정한 q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 18001)인증기준 에 따라, 인증 사업장의 경영체제를 평가하여 q 인정 기준에 적합하는 것을 인증하는 것 - BS 8800과 국내법에 적합하게 인증 기준 설정 - 품질/환경경영체제와 통합 가능한 체계로 구성
KOSHA 18001 안전경영의 주요 요소 OH&S Policy Management Review t of en Elem 8001 Key &S 1 OH Implement and Operation Monitoring and Corrective Action Planning
KOSHA 18001 산업안전보건경영시스템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법규, 고시, 코 드 등을 이용한 검사, 점검, 감사 (Prescriptive Code Audits) 손실관리 경영 (Loss Control Management) 위험관리 (Risk Management) 수행방법: 자율안전관리
KOSHA 18001 항 KS A 14001 : 1996 1 적용범위 2 참고지침 2 관련규격 3 용어의 정의 4 안전보건경영체제 인증기준 4 환경경영시스템 요건 4. 1 일반원칙 4. 1 일반요건 4. 2 안전보건 방침 4. 2 환경방침 4. 3 계획수립 4. 3 계획 4. 3. 1 위험도 평가 및 관리 4. 3. 1 환경측면 4. 3. 2 법규 및 그 밖의 요건 4. 3. 2 법률 및 그 밖의 요건 4. 3. 3 목표 및 세부목표 4. 3. 4 안전보건경영추진계획 4. 3. 4 환경경영추진계획 4. 4. 1 실행 및 운영 구조 및 책임
KOSHA 18001 항 KS A 14001 : 1996 4. 4. 2 교육, 훈련 및 자격 4. 4. 2 훈련, 인식 및 자격 4. 4. 3 의사소통(정보제공) 4. 4. 3 의사소통 4. 4. 4 문서화 4. 4. 4 환경경영체제 문서화 4. 4. 5 문서관리 4. 4. 6 운영관리 4. 4. 7 비상시 대비 및 대응 4. 5 점검 및 시정조치 4. 5. 1 성과측정 및 모니터링 4. 5. 1 점검 및 측정 4. 5. 2 시정 및 예방조치 4. 5. 2 부적합, 시정 및 예방조치 4. 5. 3 기록 4. 5. 4 자체감사 4. 5. 4 환경경영체제 감사 4. 6 경영자검토 4. 6 경영자 검토
KOSHA 18001 산업안전보건경영시스템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고객안전관리 제품안전관리 산업안전보건경영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조달, 보수. 유지, 회계, 작업관리 등 일반적 경영관리 품질경영 (Quality) ISO 9000 환경경영 (Environment) ISO 14000 산업안전 산업보건 근로복지 근로자 건강관리 화학물질, 소음 등 작업환경관리 사업장 내부 및 외부환경피해방지
KOSHA 18001 위험관리수준 (FRAME WORK FOR RISK CRITERIA) H IGH RISK 피해범위 허용불가 허용위험관리수준 Maximum Tolerable Criterion LOW RISK 위험관리목표 Desirable Target INTOLERABLE 불가피한 경우 허용 TOLERABLE IF ALARP(As Low As Reasonably Practicable) 무 시 NEGLIGIBLE
KOSHA 18001 인증 예상효과 고객 및 대 외적 신뢰 성 제고하 여 손실감 소 및 경영 에 기여 업무의 표 준화 및 권 한과 책임 의 명확화 로 휴먼에 러 예방 가 능 과학적 위 험도 평가 기법 도입 으로 체계 적 위험관 리 가능 근로자 참 여를 통한 원활한 의 사소통으 로 안정적 안전관리 가능 급변하는 경영환경 변화에 신 속한 대응 으로 기업 리스크 감 소 기여
KOSHA 18001 인증제도 특징 q 도입배경 : 영국 안전보건경영시스템(BS 8800) q 자율신청 : 인증 희망 사업장 - 시행주체 : 공단(이사장) 업 종 : 모든 업종 - 인증평가 : 공단 본부(중대산업사고예방실) - 사후(연장)평가 : 공단 지역본부(기술위원실) - q 공단에서 -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술지원 사업장 요청 시 기술지원/교육 지원(컨설팅)
KOSHA 18001 인증 업무처리 절차 1단계 제출 서류(공단 본부) 상담 및 인증 신청 평가팀 구성 (공단 본부) . 인증 참여 신청서. 사업장 안전보건 자체평가표. 안전보건경영 조직표. 사업장 현황 조사표 ※서류 미비 시 보완 요청 인증 참여 계약(15일 이내) 2단계 사업장 실태평가 현재 안전관리상태 점검, (문서심사 70%, 현장 30%). 안전보건경영체제분야. 안전보건활동수준분야
KOSHA 18001 기술지원(컨설팅) 실태분석결과 인증기준 미달 시. 체제구축지원, 교육, 기술 자료 제공 (사업장 요청 시) 3단계 인증평가 (공단본부) 실태평가결과 보완완료 후 보완내용 확인 및 연장평가 (문서/현장심사/계층별면담) 4단계 인증여부 결정 (공단본부) 인증결정위원회 심의 (공단본부)
KOSHA 18001 5단계 인증서, 인증패 수여 사후관리 (공단 지역본부) 지역본부장/지도원장 (사업장 관할 기관장) 유효기간 : 3년 사후평가 : 년 1회
KOSHA 18001 사업장 기술지원 및 평가일수 기준 실태분석평가 (인·일) 인증평가 (인·일) 사후평가 또는 유효기간 연장평가 (인·일) 50인 미만 2 2 1 50인~100인미만 2 3 2 100인~300인미만 3 4 2 300인~1, 000인미만 3 5 3 1, 000인~2, 000인미만 4 6 4 2, 000인~5, 000인미만 5 8 4 5, 000인 이상 6 10 5 구 분 장치산업 등은 사업장 위험특성을 고려하여 평가일수 기준을 증가할 수 있음. 2. 100인 미만 사업장은 실태분석평가 및 기술지원 수수료 면제 1.
KOSHA 18001 평가종류 및 용어 정의 q 실태분석 평가 OSH경영체제 구축 문서 심사(인증 요건 대비) q 기술지원(컨설팅) : 고객 요구시 제공 안전보건경영 관련 문제점 해결 컨설팅 q 인증평가 구축문서화 절차의 현장 이행 확인, 면담실시 q 사후평가, 인증유효기간 연장 평가 경영체제의 준수여부 확인 통한 유효성 연장
KOSHA 18001 인증심사 q 평가절차 - q 서류확인, 현장확인, 관계자 인터뷰 : 3 단계 세부 평가분야 안전보건경영체제분야 : 18개 분야 • 일반원칙/ 방침/ 계획수립/ 실행 및 운영 • 점검 및 시정조치/ 경영자 검토 - 안전보건활동수준분야 : 13개 분야 - 안전보건경영관계자 면담분야 : 6개 분야 • 경영자/ 관리감독자/ 현장작업자/ 협력업체 -
KOSHA 18001 안전보건경영체제분야 평가항목 q 사업장 자체평가 q 안전보건 방침 및 목표설정 q 계획수립 q 실행 및 운영 q 성과측정 및 자체감사 q 경영자 검토 q 지속적 개선
KOSHA 18001 경영체제 운영 개념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사업장 실태분석 정책수립 및 목표설정 계획수립 및 실행 성과측정 및 자체감사 경영자 검토 지속적 개선
KOSHA 18001 안전보건활동수준분야 평가항목(1) q 작업장 관리 q 중량물 운반기계관리 q 개인보호구 관리 q 위험기계기구 및 설비의 방호조치 q 자체검사 실시
KOSHA 18001 안전보건활동수준분야 평가항목(2) q 화학설비에 대한 안전성 확보 q 감전재해예방 및 전기화재폭발예방 q 유해화학물질취급 및 작업환경관리 q 근로자 건강관리 및 건강장해의 예방 q 협력업체/도급업체 안전보건관리
KOSHA 18001 안전보건경영관계자 면담분야 q 공장장 숙지사항 q 중급관리자 숙지사항 q 현장작업자 숙지사항 q 안전 보건관리자 숙지사항 q 협력업체 관계자 숙지사항
KOSHA 18001 상호인정 협정체결 q BSI(‘ 99. 6. 28일), DNV(‘ 99. 12. 2일), BVQI(2000. 11. 17일) q 사업장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 상호 인정 협정 q 공 단 q BSI, DNV, BVQI 18001(1999) : KOSHA 18001 : OHSAS 인증 평가 동시 실시, 공동 인증서 병행 발급 상호 기술 협력 확대, 기술 인력 교류 활성화 q 적용대상
KOSHA 18001 상호인정 운영방법(1) q 주 등록기관 지정(신청서 접수 기관) - 신청서 접수기관, 심사계획 수립, 공동심사 주관 - 주 등록기관 팀장이 심사진행 총괄 - 심사일수 결정 : 각 기관별 소요 M/D ½ 적용원칙 ※ 사업장 특성에 따라 다소 증가 산정 가능 ※ 단, 인증평가(심사) 계약은 각각 별도 체결함 q 인증 평가(심사) - 양 기관 동시 수행 원칙 - 공동 심사 종료 시 심사 결과 기록 공유
KOSHA 18001 상호인정 운영방법(2) q 공동 인증 신청서 공단 본부 접수 경우 - 공단 본부(중대산업사고예방실) 접수 ⇒ 본부 평가 요원 등 평가팀 구성 - 본부(중대산업사고예방실)에서 외부 공동 인증 기관과 심사 일정 협의하여 공동 인증 기관 통보 ※ 공단 지침 제 3호 서식의 심사계획서 양식 사용 ※ 부산지역본부 문의처( 기술위원 051 -520 -0613~5 ) - 담당자 : 김 종운[019 -528 -4685]
KOSHA 18001 공동인증 심사비용 산출(예시) q 1, 500명 사업장 경우 : KOSHA 18001 평가 일수 기준 실태분석평가 4 M/D, 인증평가 6 M/D, 계 10 M/D - 비용 : 10 M/D × 약 50만원 = 약 500만원 - q 공동 인증 경우 비용 KOSHA : 5 M/D × 약 50만원 = 약 250만원 외부인증기관 : 5 M/D × 약 110만원 = 약 550만원 ※ 인증기관별 약 10%정도 M/D기준 증가적용 경우 있음. - q 외부 인증 기관 OHSAS 18001 단독 인증 심사시 비용 - q 10 M/D × 약 110만원 = 약 1, 100만원 인증 비용 비교 : 외부 > 공동 > KOSHA
KOSHA 18001 감사 합니다!
b914311250e1583da360e1d55d0d009f.p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