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f087017e112b6fc073e25522ea542a7.ppt
- Количество слайдов: 11
금융 시장 동향 및 리스크 관리 하나은행 자금시장본부 2008. 1. 29 1
시장 예측이란? I was short…. I should have listened to my mom that day… I was long…. Cactuses under my desk were useless!!!!! @#!$@#^ Shoot… We were opposite to the market. . 2
달러/원 시장의 추이 금융시장 불확실성 증가 USD/KRW 환율 변동 추이 USD Index 90 1050 20일 이동 평균 20일 85 100일 이동 평균 100일 80 1000 75 05/12 06/12 07/12 Gold 950 900 700 900 500 05/12 06/12 07/12 9. 5 JPY/KRW ¡ 10월말 저점으로 하여 달러/원 환율 상승 추세. ¡ 글로벌 달러 약세 상황이나, 원화 또한 타 통화에 비하여 약세. 8. 5 ¡ 기술적 분석의 측면에서 볼 때 달러/원 하향 Trend 반전 가능성 상존 7. 5 05/12 06/12 07/12 ¡ 최근 달러/원 환율은 신용경색 및 글로벌 경기 하강과 관련되어 세계 시장에 동조화된 국내 증시와 높은 상관 성을 보이며 일중 변동성 확대됨. (외국인 주식 매도, 자산운용사 매도 헤지 약화 등) ¡ FRB 의장의 공격적 금리 인하 발언 및 부시 행정부의 부양책 발표로 시장 회복에 나섰으나, 여전히 시장은 불안감을 떨쳐내지 못하고 있으며, 단기 환율 상승 가능성 확대됨. 3
달러/원 시장 추이의 원인과 전망 USD/KRW 환율과 KOSPI 지수 상관관계 ‘ 07 -Mar ‘ 07 -Aug ‘ 07 -Nov~’ 08 -JAN 950 원달러 환율 925 900 2000 KOSPI 지수 1500 서브프라임 적신호 서브프라임 위기 가시화 Recession 진행 우려 ¡ 서브프라임 위기로 촉발된 미국 경기 침체 여파가 중국, 인도를 포함한 Emerging Market에 충격을 미치며, 글로벌 금융시장 혼란이 지속되고 있는 바, 전세계 금융 시장 동조화가 뚜렷해지는 추세임. ¡ 글로벌 달러 약세, 국내 수출 기업 실적 호조 및 해외 펀드 활성화에 따른 자산운용사 헤지 물량 출회로 인한 원화 가치 상승 지속될 지 여부는 Emerging Market이, 점점 가시화되고 있는 미국 경기침체 충격에서 글로벌 경기를 지지할 것인 지에 따라 결정될 전망임. 4
달러/원 시장 추이의 원인과 전망 수급 측면에서의 공급요인 약화 경상수지 흐름 (단위: 백만불) 외국인 순매수 (단위: 억원) 자산운용사 해외 자산 가치 감소 국내 헤지 수요 감소 ¡ 2007년 하반기 경상 수지 흐름 양호 ¡ 달러 대비 원화 강세 지탱 요인 중 하나 ¡ 금융 시장 불안 해소까지는 불안정 양상 지속 ¡ 달러/원 하락은 당분간 제한적일 것임. ¡ 증권 시장 외국인 순매도 추세 선물환 매수 ¡ 미국 경기의 글로벌 Recession으로의 전염 여부에 따라 달러/원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예상 5
자금시장 추이의 원인과 전망 국내 금리 동향 ¡ ’ 07년 은행 예금의 펀드시장으로 이탈로 인한 금융기관 유동성 부족 현상 및 원자재 가격 인상으로 초래된 인플레 우려로 인해 1월 초까지 CD 금리 지속 상승하였으나, ¡ 주식시장 약세장 지속 및 금리 상승에 의한 은행 유동성 해소 국면 전환, 외국인의 국채 매수 및 경기 둔화 우려로 1월 중순 이후의 하향세 지속을 하고 있으며, 경기 둔화 우려 또는 정책 금리 인하가 가시화될 경우 추가 하락 여지 가능성 상존함. 3 MCD 및 국고채(3년)수익률 추이 3 MCD 금리 국고채(3년) 수익률 6
리스크 관리 내부 환리스크 관리 기법 Matching 외화의 장래 Cash Flow상 Inflow와 Out. Flow를 금액 상 일치시켜, 그 차액을 최소화하여 환리스크 발생 자체를 억제 Leading 외화 자금의 결제시기를 의도적으로 앞당겨서(Leading) 환차익을 극대화함. - 환율하락 예상시 수출환어음 결제 Leading 전략. Lagging 외화 자금의 결제시기를 의도적으로 지연시켜(Lagging) 환차익을 극대화함. - 환율상승 예상시 수출환어음 결제 Lagging 전략. ALM Managing 환율 전망에 따라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 부채 포지션 조정 외부 환리스크 관리 기법 현물환 거래 장래 확정 외화 Cash Flow에 의해 발생하는 환포지션에 그대로 노출. 선물환/Swap 미래 특정시점 외화 관련 거래의 환율을 정함으로써 장래의 원화기준 현금흐름을 확정 할 수 있으나, 장래 환율 변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기회 이익을 포기. FX option 환차손 방지를 포함하여 환율에 의한 기회이익까지도 획득 가능하여, 고객의 Risk 선호 성향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상품 설계 가능하나, 과도한 Leverage 효과를 통한 수익률 추구는 추가적인 환차손으로 이어 질 수 있음. 7
리스크 관리 환헤지 의사 결정 흐름 현물환 거래 NO Hedge 외부 관리기법 선물환/Swap 환포지션발생 Risk Aversion (보수적 성향) Vanilla Option 내부 관리기법 Exotic Option Risk Appetite (공격적 성향) 결론 ¡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증가한 만큼, 예측에 의한 Hedge 보다 원가확정 차원에서 일정비율을 강제적으로 Hedge하는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생각됨. ¡ 단, 금융시장 변동성이 증가한 만큼, 헤지 수요 업체의 상품 Risk Profile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전제로, 헤지 수요자의 리스크 선호 성향에 따라 위험을 감내할 수 있는 범주에 속하는 Exotic 상품에 대한 추가 수익 기회 역시 증가할 전망임. 8
<부록> FX option 상품(1) Knock Out Target Forward ¡ 매달 만기 옵션 Payoff 구조 ¡ 상품 특징 Put Buy *1 @955원 KO@900 원 • 선물환 보다 높은 수준의 환율로 매도 가능하나, • 환율이 일정 수준(KO@900) 이하로 거래된 해당월 옵션 소멸하고, 만기환율이 최초 약정한 행사가(@955) 이상 시 약정 금액의 2배를 매도해야 함. ¡ Risk/Return Profile 900원 • KO 대가로 Target Forward보다 행사가 Enhance. - 환율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지 않기를 기대함. • 환율 상승 시, 행사가 이상으로 두 배의 약정금액을 매도해야 하는 위험내재. 955원 Call Sell *2 @955원 Wide Range Target Forward ¡ 매달 만기 옵션 Payoff 구조 ¡ 상품 특징 Put Buy *1 @950원 KO@900원 • 선물환 보다 높고 KO TF 보다 낮은 수준의 환율을 행사 가로 하여, • KO TF와 유사한 Pay off를 갖으나, Call option sell 부분이 환율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어야 Knock In 됨. ¡ Risk/Return Profile 900원 950원 Call Sell *2 @950원 KI@980원 • KI 대가로 KO TF보다 행사가 낮으나, • 환율 상승 시, 행사가 이상으로 두 배의 약정금액을 매도해야 하는 위험을 일정 부분 제거하여 Knock In level 까지 환율 상승 이익을 향유할 수 있음. 9
<부록> FX option 상품(2) Snowball Target Redemption Target Forward ¡ 매달 만기 옵션 Payoff 구조 Strike=[전월행사환율 +960 -월별 Fixing rate] Put Buy *1 @Strike ¡ 상품 특징 • Target Forward와 유사한 Payoff를 갖고 있으나, • Monthly Strip 거래 구조에서 행사가가 그 전월 Fixing되는 행사가와 만기월 Fixing 환율에 의존하여 변하며, • 환차익이 약정금액 이상이 되면, 이후 거래 종료됨. ¡ Risk/Return Profile Strike Call Sell *2 @Strike • High Risk/Leverage & High Return 구조로서 매우 높은 행사가로 매도할 수 있는 기회의 가능성이 많으나, • 환율의 지속적인 상승, 혹은 변동성 상승 시, Leverage 효 과로 인해 손실 금액이 많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 10
<부록> 변동금리대출 + 이자율 스왑 거래 개요 § 스왑계약은 은행과 고객이 정해진 금액에 대한 변동금리(3개월CD)와 고정금리(IRS)를 서로 교환하도록 맺은 계약. § 스왑금리(IRS) 대비 채권 금리의 상승으로 은행채금리를 추종하는 FTP(3년) 고정금리대출 대비 약 0. 70% 금리 절감 상품 사례 – 이자율 스왑 + 변동 금리 대출 3년 변동금리대출 + 이자율 스 왑 3년 고정금리대출 변동 금리 대출 7. 10% A사 CD+1. 50% + 하나은행 A사 하나은행 CD+1. 50% FTP(3년) 5. 60% EL/마진 0. 70% 신보교육/업무원가 0. 80% 고정금리 7. 10% 고정금리대출 이자율 스왑 4. 93%+1. 50% 3년은행채 금리 5. 60% 3년 IRS 금리 4. 93% 6. 43% 고정금리효과 ( CD+1. 50% ) + ( 6. 43% - (CD+1. 50%) ) = 6. 43% 11
4f087017e112b6fc073e25522ea542a7.ppt